728x90
반응형

캠코더 4

삼성 6mm 캠코더 VM-B990

최근에 고장난 소니 6mm 캠코더를 처분하고 삼성 6mm 캠코더를 구하게 되었다. 소니 캠코더에 대한 좋은 기억이 없었음은 물론이고 일본 제품에 대한 반감은 여전해서 국산품을 구하는 게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고 삼성 제품으로 대체하게 되었다. 캠코더 본체의 모습 모델명은 VM-B990이며 크기는 작지만 의외로 무게가 있다. MiniDV가 표시된 것에서 보듯이 6mm 테이프를 쓴다. 일부 6mm 관련 글이나 영상 등에서 테이프를 쓰는 캠코더 = 아날로그라는 생각으로 6mm캠코더를 아날로그 감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으로 DV는 Digital Video, 즉 녹화방식이 디지털이라는 의미다. 6mm 디지털로 넘어온 이후로는 대부분의 제품에 액정 화면이 달려 나오는 것 같다. DV..

삼성 8mm 캠코더 VM-1300

삼성 8mm 캠코더 VM-1300 이 제품은 모든 부속품들이 완전히 있는 풀구성으로 구하게 되었다. 배터리가 호환품이고 설명서는 프린트된 것이라는 점이 아쉽긴 했다. 앞부분에 전원스위치가 있다. 중앙이 꺼진 상태에서 좌측으로 향하면 카메라, 우측으로 향하면 비디오모드가 된다. 이 제품은 불안정한 화면상태를 보정해주는 TBC를 지원한다. 국산제품의 한글은 언제봐도 친숙해서 좋다. 마이크 단자와 A/V 연결 단자를 지원한다. 하단부에 전원 공급 단자가 있다. 이 제품도 충전기가 따로 없어서 본체와의 연결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시켜야 한다. 설명서에도 전원공급 코드만 있는것으로 봐서 배터리 충전기는 없는 듯 하다. 배터리는 SB-L160으로 VM-A3400T모델과 같은 배터리를 공유한다. 배터리 상태는 좋지만 ..

LG 아트캠 LC-AH40D

LG 아트캠 LC-AH40D모델은 기존 캠코더와는 다른 특이한 형태의 캠코더이다. 이러한 모양의 캠코더는 샤프전자에서 출시한 뷰캠과 같으며, 삼성전자도 이러한 모양의 캠코더를 출시했었다. 비디오 전원 버튼은 비디오를 재생할 때 비디오 모드로 켜지게 되는 버튼이다. 카메라 모드로 진입하려면 카메라 부분의 스위치를 카메라에 위치시켜야 하며 촬영버튼은 빨간 버튼이다. 액정화면 가림막은 야외촬영시 햇빛으로 인해 화면이 잘 안보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액정화면 가림막을 제거한 모습 배터리나 전원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오른쪽에는 액정화면의 좌측으로 헤드폰 연결 단자, 음량조절, 밝기조절 기능이 있다. 배터리를 장착한 모습 정품 배터리는 방전이지만 호환 배터리는 아직 살아있다. 액정화면은 위로 올려젖힐 수..

삼성 8mm 캠코더 VM-A3400T

8mm테이프를 쓰는 삼성 캠코더로 모델명은 VM-A3400T이다. 6mm입문은 소니제품인데 8mm는 삼성제품으로 입문했다. 삼성 캠코더는 8mm시절에 MYCAM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했는데 이 제품도 MYCAM 브랜드로 나온 캠코더 550배 줌에 HI8을 지원해서 좋았다. LCD 모니터 최근 캠코더는 거의 다 달려있지만 8mm시절에는 뷰파인더만 있는 모델이 많았다. 라이트 기능 야간촬영에 좋을 것 같다. 중고로 구한건데 배터리 충전기가 따로 없는지 이렇게 본체에 꽂아서 충전해야 했다. 그래도 배터리가 아직도 살아있는게 다행이다. 재생, 정지, 되감기 등의 버튼은 위쪽에 있다. 개인적으로 한글이 있는 국산제품이 친숙해서 좋다. 좌측의 노란구멍은 AV연결을 하는 잭이다. 테이프를 위에서 넣는 탑 로딩 방식이다...

728x90
반응형